트럼프 한마디에 울고 웃는 시장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 협상과 연일 압박 수위를 높여온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 대해 유화적인 발언을 내놓으면서 미국 증시 선물 가격과 달러화 가치가 올랐다. 2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전 9시 27분 기준 미 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과 나스닥 100 선물은 각각 1.632%, 1.799% 오른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루저"(loser)로 칭하며 기준금리 인하를 거듭 압박했지만, 다음날인 22일 정규장 마감 후 "그를 해임할 생각이 전혀 없다"면서 "그가 금리 인하 아이디어에 좀 더 적극적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또 취임 후 중국에 부과한 145% 관세율에 대해 "매우 높다"면서 "(향후) 그 정도로 높게 있지는 않을 것이며 매우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했다. 앞서 미 증시는 22일 정규장에서도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의 미중 협상 관련 발언 영향으로 강세를 보인 바 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한 행사에서 중국과의 무역 갈등이 앞으로 협상을 통해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중 무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미국 정부의 대중국 관세정책이 장기화되면서, 남가주 부동산 시장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표된 캘리포니아부동산협회(C.A.R.)의 3월 통계에 따르면, 남가주 주요 카운티의 주택 중간가격은 전달과 비교해 큰 변동 없이 정체된 흐름을 보였다. 이는 높은 모기지 이자율과 늘어난 주택 재고, 그리고 지속적인 무역 관세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 때문에 잠재적 구매자들이 주택 구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정보업체 질로우(Zillow)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남가주 6개 카운티의 평균 주택 가격은 전월 대비 0.38% 상승한 87만 5,908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2개월 동안의 가격 상승률은 1.9%로, 2023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연간 상승률을 보였다. 질로우의 수석 경제학자인 오르페 디본가이( Orphe Divounguy)는 "주택 시장은 더 이상 ‘셀러 마켓’이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특히, 오렌지카운티와 로스앤젤레스카운티의 경우, 2월 대비 평균 0.2% 내외의 미세한 가격 상승에 그쳤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되레 소폭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CJ제일제당이 미국에서 비비고 만두의 모양과 관련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17일 밝혔다. CJ제일제당 측은 "'가는 2줄의 줄무늬가 반복되는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형상에 대한 디자인 특허"라면서 "만두 카테고리 전체에 대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CJ제일제당은 지난 2023년 2월 미 특허청에 신청해 지난 8일 특허를 승인받았다. 특허 보호 기간은 15년이다. 비비고 만두는 북미 시장 1위 제품이다. CJ제일제당은 2010년 미국 시장에 진출해 미국인에게 친숙한 '덤플링'(Dumpling)이란 이름 대신 '만두'(Mandu)라는 이름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의 이번 특허 취득을 놓고 중국 관영매체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 신문 환구시보는 전날 공식 웨이보 계정에 '어이없다! 한국 기업이 만두 모양에 대한 특허를 신청했다'는 제목의 게시물을 올리며 CJ제일제당의 만두 특허 관련 내용을 소개했다. 이 소식이 알려지며 중국 내에서는 만두는 중국 전통음식이라는 지적과 함께 미국 시장으로의 진출 시 법적 분쟁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 현지 매체
KoreaTV.Radio 권성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보복 대응을 한 중국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이 125%가 아닌 145%라고 미국 매체들이 10일 보도했다. CNBC와 CNN 등은 이날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이 145%라고 백악관이 확인해줬다고 전했다. CNBC는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125%라고 행정명령에 명시돼 있다"며 "여기에 20%의 펜타닐 (관세) 비율을 추가해야 한다"며 "백악관 관계자는 145%가 현재 중국산 상품에 대한 정확한 새로운 관세율이라고 확인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이 이날 공개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파트너의 보복과 지지를 반영하기 위한 상호관세율 수정'이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에 따르면 기존의 대중 상호관세율 84%를 삭제하고 이를 '125%'로 대체한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여기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좀비마약) 원료를 문제 삼아 중국에 20%(10%+10%)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중국에 부과된 합계 관세율이 145%가 된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대중 관세가 미 동부시간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관세 폭탄을 쏟아붓고 중국도 맞불 관세로 대응하면서, 세계 양대 경제 대국인 두 국가 간 무역이 사실상 멈춰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대응 수위를 맞불 수준으로 끌어올리며 모든 미국산에 84% 관세를 추가한 상태다. 미국 싱크탱크 택스 파운데이션의 에리카 요크 이코노미스트는 10일(현지시간) CNBC 방송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세자릿수 관세로 인해 양국 교역 대부분이 중단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대체재가 없어 기업들이 (관세)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교역을) 중단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소시에테제네랄도 이번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이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봤고, 캐피털이코노믹스는 향후 몇 년간 중국의 대미 수출이 절반 넘게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자 기사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전쟁을 중국과의 '이판사판식'(high-stakes) 대결로 몰아가고 있다면서, 양국 갈등이 당장 퇴로가 안 보일 정도로 고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향방에 따라 한국 금융시장에서도 주가와 원화 가치 등이 큰 폭으로 급등락하는 '롤러코스터' 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 상호관세 유예에 위험선호 심리가 회복되면서 10일 국내 주가지수와 원화 가치가 일제히 크게 뛰었다. 고율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돌연 중국 외 국가에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협상할 의지를 밝히자 주가지수와 원화가 최근 급락분을 되돌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51.36포인트(6.60%) 치솟은 2,445.06으로 집계됐다. 지수는 전장보다 101.43포인트(4.42%) 뛴 2,395.13으로 출발한 뒤 장중 5%대 급등세를 유지했다. 개장 직후엔 코스피200선물의 급등으로 프로그램 매수 호가 일시 효력 정지(사이드카) 조치가 발동되기도 했다. 간밤에 미국 증시에서 나스닥 지수가 12% 폭등하는 등 역시 급반등하는 모습이 보였다. 이날 아시아 증시에서도 일본 닛케이225 지수가 9.13%, 대만 자취안지수가 9.25% 급등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역시 1.16% 올랐다. 이날 우리나라 주가 급등에는 최근 9거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미국 상호관세가 본격적으로 발효된 9일, 글로벌 관세 전쟁 우려에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한국 경제에 대한 위기감도 다시 고조됐다. 원/달러 환율이 장중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1,480원대 후반까지 뛰었고, 코스피 지수는 1년 반 만에 2,300선 아래로 추락했다. 수 개월의 리더십 공백 속에 부진한 내수, 불안한 수출 전망까지 겹치면서 올해 한국 경제가 최악의 경우 역성장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 원/달러 장 중 1,487.6원까지 치솟아…코스피 2,290대 마감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가)는 전날보다 10.9원 오른 1,484.1원을 기록했다.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12일(1,496.5원)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치다. 환율은 전날보다 10.8원 높은 1,484.0원으로 출발한 뒤 9시 10분께 1,487.6원까지 올랐다. 오전 중 1,476.9원까지 내렸던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가 정식으로 발효된 오후 1시께 다시 1,487원 선까지 반등한 뒤 내내 1,480원대에서 움직였다. 미국 상호관
KoreaTV.Radio 권성준 기자 | 매년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었던 트레이더 조의 미니 캔버스 도트 백이 이번에 파스텔 색상으로 출시됐다. 이번 트레이더 조의 미니 도트 백은 베이비 블루, 민트 그린, 베이비 핑크, 라벤더 색상 등 다양한 색상으로 공개됐다. 미니 도트 백은 한 개당 2달러 99센트에 판매된다. 구매 수량은 고객 1인 당 4개로 제한된다. 이 미니 백은 스튜디오 시티 지역 벤추라 블러바드에 위치한 트레이더 조 매장에서 오늘(8일) 오전 10시에 매진되는 등 벌써부터 반응이 뜨겁다. 새로운 색상의 미니 도트 백의 출시 날짜는 지역마다 다르지만, 이번 주 내로 전국 내 매장에서 찾아볼 수 있을 예정이다.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국가별 상호 관세가 9일 발효되면서 세계 무역 질서는 중대한 도전을 맞게 됐다. 중국을 필두로 미국에 무역흑자를 내는 60여개국에 대해 10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의 관세 폭탄이 떨어지면서 각국 경제에 타격이 우려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1909년 이후 10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이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증시의 급락세에도 이번 관세 조치로 미국 경제가 크게 부흥할 것이라며 관세 드라이브를 밀어 불이고 있고 총 104%의 관세를 얻어맞게 된 세계 2위 경제 대국 중국도 끝까지 싸운다는 입장이어서 이번 관세전쟁이 양대 슈퍼파워인 미중 간 전면전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리창 중국 총리는 중국이 트럼프 관세로 인한 부정적인 외부 충격을 "완전히 상쇄"할 수 있는 충분한 정책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 국가들도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는 캄보디아(49%), 베트남(46%) 등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받는 아시아 국가들의 타격이 크다고 분석했다. 유럽연합(EU)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20%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추가 104%의 관세 폭탄을 위협하자 중국도 9일 즉각 '전방위 보복'에 나섰다.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추가 관세를 종전 34%에서 84%로 올리고 미국 기업들에 대한 각종 규제도 잇달아 발표했다. 중국 계면신문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오는 10일 낮 12시 1분(현지시간)을 기점으로 부과하는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34%에서 84%로 인상한다"고 9일 발표했다. 또 중국 상무부는 쉴드 AI와 시에라 네바다 등 미국 군수기업 6개를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 추가하는 한편 아메리칸 포토닉스(렌즈 제조), 노보텍(바이오), 에코다인(드론) 등 미국 12개 기업에 대해 이중용도 물자 수출을 통제키로 했다. 아울러 미국의 50% 추가 관세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추가 제소했다. 앞서 미국은 상호관세 등에 대한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에 대응해 트럼프 2기 출범 후 누적 104%의 관세를 중국에 추가 부과키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중국에 이른바 '10% + 10%'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9일부터 34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캘리포니아의 주 패스트푸드 업계에서 최저임금 인상 이후 2만 3천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중소업체에 불이익을 주고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페퍼다인 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과 민간 경제연구기관 비컨 이코노믹스(Beacon Economics)는 지난 1일, 패스트푸드 최저임금 인상법 ‘AB 1228’ 시행 1주년을 맞아 관련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고용개발국(EDD) 자료 기준으로 지난해(2024년) 4월 이후 패스트푸드 업계에서 2만3,1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는 패스트푸드 고용은 0.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를 이끈 크리스토퍼 손버그 박사는 “이 자료는 정책 입안자들에게 경각심을 일으킨다”며 “급격한 임금 인상이 특히 신입 근로자들에 대한 실질적인 일자리 손실을 초래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번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뿐 아니라 사업 지속 가능성과 직원 근무 시간, 복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캘리포니아주 패스트푸드 위원회가 추가 임금 인상 등 새로운 규제 시행을 잠정 중단하고, 편향 없는 종합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뒤 처음 열린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급락세로 출발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오전 9시 33분(미 동부시간) 기준 전장보다 1,060.79포인트(-2.51%) 떨어진 41,164.53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72.94포인트(-3.05%) 하락한 5,498.0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719.41포인트(-4.09%) 급락한 16,771.63에 각각 거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