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저소득층에 지급되는 식비보조(EBT) 도용사기가 코로나 기간중에 급증하고 있으며 지난해 가주에서만 3250만 달러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주사회복지국(DPSS)에 따르면 지난 해(2021년 9월~2022년 9월) 동안 웰페어, 식료품 지원금 등 총 3250만 달러의 도용 피해가 발생했다. 도용 사건으로 인해 매달 270만 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가주 정부는 저소득층에게 지급되는 식료품 구매 카드(EBT) 등 사회 지원금의 도용 사건이 심각해지자 카드 보안 기능 강화하고 범죄조직을 추적하기 위해 5천만 달러의 예산 편성키로 했다.
비영리 언론재단 캘매터스는 31일 “사회 보조금 도용 사건은 특히 가주에서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EBT카드 도용으로 인한 피해 금액은 2019년 이후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EBT카드 도용 사기 행각은 국제 범죄 조직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했다.
DPSS 측은 보고서에서 “캘워크스의 경우 지난 2021년 중반까지 도용 피해액이 월 10만 달러 미만이었으나 이후 월 400만 달러로 피해 규모가 커졌다”며 “오는 7월부터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는 월평균 피해액이 800만 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 캘매터스는 “가주 정부는 도용으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자 내년 예산에 EBT 카드 보안 기능 강화를 위해 5000만 달러 규모의 예산안 편성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LA경찰국(LAPD)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이후 LA지역에서만 무려 5000건 이상의 EBT 카드 도용 피해 신고 건이 접수됐다. 특히 지난해 7월 도용 피해액 신고가 388만 달러로, 지난해 1월 147만 달러에 비해 3배 가량 치솟았다.
LAPD 범죄 전담부 알폰소 로페즈 캡틴은 “최근 국제범죄 조직원들이 가담해 EBT 카드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며 “사기범들은 피해자 인적사항을 파악하고는 해킹을 통해 피해자 EBT 카드에 지원금이 입금일에 맞춰 돈을 곧바로 빼간다”고 말했다.
도용 사기는 EBT 카드가 칩이 아닌 마그네틱 카드로 보안기능이 취약하다. 로페즈 캡틴은 “사기범들은 결제 단말기 등에 몇 분 내로 불법 판독기를 설치할 수 있다”며 “수혜자들은 핀넘버를 입력할 때 키패드를 손으로 가려 카메라 등이 번호를 캡처하지 못하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DPSS측은 언어문제로 신고를 기피하는 한인 등 아시안계에서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핀넘버 공유 금지 ▶EBT 계좌 매주 잔액 체크 하고, 본인이 쓰지 않았던 거래가 있다면 즉각 신고할 것을 공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