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미국 내 제조시설 증가와 데이터센터 증설 등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친환경 대체에너지 공급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미국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에너지 컨설팅기업 그리드 스트래티지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내 여름철 피크 전력수요가 2023∼2028년 5년간 38GW(기가와트) 추가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증가분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전체의 현재 전력수요와 맞먹는 규모라고 NYT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2022년 추계 때만 해도 향후 5년간 전력수요 증가 예상치가 20GW 초반대였는데 1년 새 전력수요 전망이 급증한 데 주목했다. 미국의 전력 수요가 애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이 가파른 전력 수요 증가세의 주된 배경으로는 데이터센터, 미국 내 제조공장 증가, 전기차 및 전기난방 등 전기화(electrification)가 꼽힌다. 원격근무와 스트리밍 서비스, 온라인 쇼핑 등의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인공지능(AI) 열풍이 데이터센터 건립을 더욱
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미국에서 신용카드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도시 순위에서 랜초 쿠카몽가가 전체 1위에 올랐다. 역시 남가주 온타리오가 2위, 폰타나, 산타 클라리타, 산타 애나 등이 3위와 4위 그리고 5위 등 8곳이 남가주 도시에 꼽혀 심각한 부채 상황을 반영했다. 그밖에 철라 비스타 6위, 옥스나드 7위, 리버사이드 9위 등으로 신용카드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도시 순위TOP 10 중 8곳이 남가주였다. 이처럼 신용카드 빚이 많이 오른 도시 순위에서 1위부터 5위까지를 가주 도시들이 완벽하게 독식했다. 그 다음에도 남가주 도시인 6위 Chula Vista, 7위 역시 남가주 도시 Oxnard, 9위 남가주 Riverside 등이었다. TOP 10에서 가주 도시가 아닌 곳은 8위 하와이 주의 Pearl City와 10위 Nevada 주의 Las Vegas 등 2곳 밖에 없을 정도로 압도적인 수치였다. 가주에서도 남가주 도시들에 이처럼 신용카드 빚이 늘어난 것은 그만큼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인한 영향을 상당히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11위부터 20위 사이에서는 12위 남가주의 Moreno Valley와 15위 중가주 도시 Baker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두 달 만에 약 20만개의 비트코인을 사들였다고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가 10일 보도했다. 블랙록이 최근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이 회사의 현물 비트코인 ETF인 아이셰어즈 비트코인 ETF(IBIT)가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은 19만5천985개로 나타났다. IBIT가 지난 1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을 받아 거래를 시작한 이후 두 달 만에 약 20만개를 사들인 것이다. 이는 세계 최대 비트코인 보유 기업으로 알려진 마이크로스트래티지보다 큰 규모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지난달 26일 공시를 통해 19만3천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이후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입했는지 여부는 확인이 되지 않았다. 다만, 비트코인 추가 매입을 위해 최근 7억 달러 규모의 자본을 조달하기로 책정했기에, 더 늘어날 수는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블랙록의 IBIT는 출시 이후 하루에 수억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추가하는 등 현물 ETF 가운데 다소 성격이 다른 그레이스케일의 GBTC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상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연방 노동부는 지난주(2월 25일∼3월 2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한 주 전과 같은 수준인 21만7천건으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도 부합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지난해 7월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작년 9월 중순 이후 20만건대 언저리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월 18∼24일 주간 190만6천건으로 한 주 전보다 8천건 증가, 지난해 11월 18∼24일 주간(192만5천건)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이는 기존 실직자 중 일자리를 새로 구한 이들이 줄었음을 시사한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노동시장 과열이 인플레이션 고착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 고용 관련 지표를 눈여겨보고 있다.
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미국 최대 방송사인 NBC에서 미국 전역의 뉴스 보도국 운영을 한인 여성이 총괄 진두지휘하게 됐다. NBC 뉴스에 따르면 한인 2세인 캐서린 김 보도국 수석부사장이 최근 보도국 총괄부사장(Executive Vice President)으로 승진 임명됐다. 김 총괄부사장은 앞으로 NBC 뉴스 보도국의 모든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뉴스 제작 등을 총괄 운영하게 된다. 또한 NBC 유니버설이 소유하고 있는 CNBC, 텔레문도(Telemundo) 및 로컬 미디어 매체와의 협업을 통해 탐사 및 심층 보도 제작도 진두지휘할 예정이다. NBC뉴스는 이번 김 총괄부사장 임명을 통해 보도국 인력 확충 및 인재 개발은 물론 NBCNews.com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플랫폼에서도 신속한 뉴스 보도 활성화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미네소타주 출신으로 뉴욕대(NYU)에서 저널리즘을 전공한 김 총괄부사장은 CBS에서 1995년부터 2006년까지 ‘60 미닛’, ‘선데이 모닝’, ‘이브닝 뉴스’ 등의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2009년부터 2년간 CNN에서 시니어 프로듀서로 근무했다. 2011년 NBC뉴스 입사후에는 ‘락 센터 위드 브라이언 윌리엄스’
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최근 1주일간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뒤늦게 코인 시장에 뛰어드는 투자자들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해외에 비해 한국내에서 거래 가격이 더 높게 형성되는 ‘김치프리미엄’의 수치도 상승했다. 별다른 쓰임새 없이 단순히 재미를 위해 만들어진 ‘밈(meme)코인’의 가격이 급등하기도 했다. 지금껏 김치프리미엄의 상승과 밈코인 급등은 가상자산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돼 왔다. 최근 대형 금융사와 가상자산업계 등에서도 짧은 기간에 급등한 코인의 가격이 곧 조정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 ‘고점신호’ 밈코인 급등 5일 오후 2시 기준 한국 가상자산 플랫폼인 빗썸에서 비트코인은 전날보다 2.1% 오른 9402만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26일 비트코인은 7100만원대에 거래됐다. 불과 1주일 만에 가격에 32.4% 오른 셈이다. 가상자산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은 같은 기간 22% 상승하며 500만원을 넘어섰다. 눈에 띄는 점은 지난 1년간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던 밈코인의 동반 급등이다. 밈코인은 인터넷이나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유행하는 문화 콘텐츠나 이미지를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한국 보툴리눔 톡신 업계가 미국 등 해외 시장에 속속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좁은 국내시장을 넘어 7년 뒤 지금의 두 배가 넘는 14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세계 시장의 점유율을 미리 올려놓기 위해서다. 일부 기업은 벌써 해외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의 절반을 넘어섰다. 4일 휴젤[145020]은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수출명 레티보) 50유닛과 100유닛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흔히 '보톡스'로 불리는 보툴리눔 제제는 미간 주름 개선 등 미용성형 시술에 주로 쓰이는 바이오의약품이다. 이 회사는 2021년 처음 FDA에 허가를 신청한 이후 자료 보완과 재신청을 반복하다, 약 3년 만에 미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티켓을 획득했다. 특히 휴젤은 국내 보툴리눔 톡신 기업 가운데 최초로 세계 3대 톡신 시장인 미국, 중국, 유럽에 모두 진출하게 됐다. 이를 포함해 현재까지 총 63개국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한 보툴렉스의 전체 매출 중 해외 비중은 이미 절반을 넘어섰다. 휴젤 관계자는 "미국 시장 출시를 기점으로 앞으로 해외 매출 비중이 더욱 확대될 예정"이라고 말했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미주 한인 최대 마켓인 H-Mart가 최근 수년새 한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라스베가스로 진출한다. 라스베가스 Eater Vegas에 따르면, H-Mart는 라스베가스 사하라 애비뉴와 디케이터 블러버드에 위치한 파빌리온 사우스 쇼핑센터에 새 매장을 준비 중이며 현재 매장 공사가 한창인 것으로 알려졌다. Eater Vegas 보도에 따르면, 라스베가스 한인 커뮤니티에서는 이미 수개월 전부터 H-Mart의 라스베가스 진출 소식을 알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H마트는 파빌리온 사우스 쇼핑센터의 메인 앵커 테넌트가 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H-Mart가 들어서는 이 쇼핑센터내 매장은 5만 4,552평방피트 규모로 신선한 해산물, 아시아 식재료, 다양한 고기 메뉴 등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라스베가스는 그간 라스베가스 한인타운에 있는 그린랜드 슈퍼마켓이 지난 10년간 유일한 한인 마켓이었 다. 라스베가스 한인상공회의소 김지니 회장은 이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H-mart가 라스베가스로 진출하게 된 것은 지난 수 년간 라스베가스로 진출하는 한인 기업이 늘고, 라스베가스로 이주하는 한인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
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미국에서 값싼 중국산 전기차가 자동차 시장을 점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국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관세를 대폭 상향하는 법안이 의회에서 발의됐다. 조시 홀리(공화·미주리) 상원의원이 지난달 28일 발의한 '미국 자동차 노동자를 중국으로부터 보호하는 법안'은 중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의 27.5%에서 125%로 올리는 게 골자다. 법안은 중국 자동차 제조사가 만든 자동차라면 제조한 지역과 상관 없이 125% 관세를 부과하도록 했다. 이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어 관세가 없는 국가에서 자동차를 만들어 수출해도 제조사가 중국 업체라면 관세를 내야 한다는 의미다. 홀리 의원은 "중국 제조사가 멕시코 같은 다른 나라를 뒷문으로 이용해 (수출해도) 관세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자동차 업계에서는 BYD 같은 중국 전기차 업체가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한 멕시코에 공장을 건설해 대미 수출 기지로 삼을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왔다. 홀리 의원은 "중국이 오늘 세계 자동차 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특히 전기차와 전기차 부품이 그렇다"면서 "조 바이든의 급진적인 기후 의제와 전기차
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실적 악화에 비상이 걸린 뱅크오브호프와 한미은행이 지점 통폐합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1일 뱅크오브호프는 1차로 윌셔/웨스턴, 메이플, 헌팅턴파크 등 남가주 지점 3곳과 워싱턴 시카고 글렌뷰 지점의 문을 닫았다. 북가주 오클랜드와 텍사스 댈러스 포트워스 지점의 마지막 영업일은 3월 29일로 예정됐다. 지점 통폐합이 완료되면 뱅크오브호프의 지점 수는 54곳에서 48곳으로 줄어든다. 한미은행도 가주 LA패션디스트릭트점과 텍사스주 휴스턴/스프링지점과 플레이노점을 5월 말까지만 운영하기로 했다. 따라서 지점 정리가 끝난 6월부터는 지점 수가 35개에서 32개로 감소한다. 양측은 지점 운영 효율성과 경비 절감 차원에서 지점 통폐합을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대상 지점의 인력은 인근 지점으로 모두 흡수될 예정이어서 감원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은행 관계자는 "두 은행의 지점 통폐합은 실적악화로 인해 그동안 눈치보면서 망설이던 지점 정리수순에 들어간 것"이라며 "앞으로는 유휴 인력들의 감원 수순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대표 암호화폐 비트코인 개당 가격이 28일 2021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6만 달러를 재돌파했다. 코인메트릭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전날 대비 6% 오른 6만391.10달러를 기록했다고 CNBC는 전했다. 비트코인의 역대 최고가는 6만8982.20달러다. 비트코인은 이번 주 다시 랠리를 재개, 18% 이상 급등했다. 올해에만 40% 넘게 올랐다. 투자자들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로 접근에 쉬워진 데다 4월 반감기를 앞두고 있어 비트코인 가격이 올해 새로운 기록을 세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암호화폐 업체 LMAX 그룹의 시장 전략가 조엘 크루거는 "비트코인 공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동안 ETF가 새롭고 더 많은 수요를 끌어들일 것"이라면서 "비트코인 경제학은 비트코인이 더 올라가야 한다고 지시한다"고 분석했다.
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가격이 27일 급등하면서 2년여만에 5만7천달러선을 터치했다. 블룸버그통신·코인마켓캡 등에 따르면 전날까지만 해도 5만1천 달러 선에서 움직이던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들어 계단식 급등세를 나타내 한때 5만 7천달러까지 올랐다. 비트코인 가격이 5만7천달러를 넘은 것은 2021년 12월께 이후 처음이며, 비트코인의 역사적 고점은 2021년 11월 30일의 6만8천991.85달러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은 15일 5만2천 달러 선에 도달 후 열흘 넘게 5만1천 달러 선을 중심으로 등락했는데, 이날 5만3천500 달러대로 점프 후 5만5천, 5만6천 달러 선을 연이어 돌파하며 5만7천 달러까지 올라갔다. 이후 일부 조정을 거쳐 오후 4시 8분 기준 24시간 전 대비 9.07% 오른 5만6천152.1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규모는 1조1천100억 달러(약 1천478조원)에 이르며, 올해 들어 비트코인 가격은 30% 넘게 올라 주식·금 등의 수익률을 앞서고 있다. 같은 시간 시총 2위 이더리움 가격은 3.61% 오른 3천223.90달러다. 이더리움 가격도 약 2년 만에 처음으로 3천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