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2025년 노벨경제학상의 영예는 '지속가능한 성장' 연구에 기여한 경제학자 3인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조엘 모키어(79), 필리프 아기옹(69), 피터 하윗(79) 등 3인에게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하기로 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모키어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미 노스웨스턴대 교수를 맡고 있다. 아기옹은 프랑스에서 태어나 현재 프랑스의 콜레주 드 프랑스와 INSEAD, 영국 런던정치경제대(LSE) 교수로 있다. 하윗은 캐나다에서 태어나 현재 미국 브라운대 교수이다. 왕립과학원은 "지난 2세기 동안 세계는 역사상 처음으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뤘고, 이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빈곤에서 벗어나 번영의 토대를 마련했다"며 "올해 경제학상 수상자들은 혁신이 어떻게 더 큰 진보를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는지 설명한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모키어 교수는 '기술 진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의 전제 조건을 파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역사적 자료를 활용, 어떻게 지속가능한 성장이 뉴노멀이 됐는지 원인을 밝혔다. 지속적인 혁신이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단순히 효과가 있다는 것만이 아니라, 그 이유에 대한 과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새로운 중동의 역사적 새벽"을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이 공개한 이스라엘 의회(크네세트) 연설문에서 이같이 밝히고 "수 세기 후에도 이 순간이 모든 변화의 시작점으로 기억될 것"이라며 자신의 성과를 과시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또 "이스라엘은 무력으로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얻었다"며 "이제 전장에서 테러리스트들에 대한 이 승리를 평화와 번영이라는 궁극적인 성과로 전환할 때"라고 강조했다. 지난 6월 미국이 사상 처음으로 직접 폭격한 이란을 향해서도 "우정과 협력의 손길은 항상 열려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크네세트에 도착해 만난 기자들에게 하마스가 무장해제 계획에 따를 것이라고 말하며 전쟁이 끝났는지 묻는 말에 "그렇다"고 답했다. 앞서 이스라엘로 향하는 기내에서도 기자들에게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은 끝났다"고 말했다고 dpa통신은 전했다. 아미르 오하나 크세네트 의장은 "이날을 간절히 기다려왔다"며 의사당에 도착한 트럼프 대통령을 환영했다. 오하나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유대인 역사의 거인"이라고 칭송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입
								이스라엘 인질 석방. /연합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13일(현지시간) 가자지구에 억류하던 이스라엘 생존 인질 20명을 모두 석방했다. 이로써 2023년 10월7일 하마스가 기습해 납치한 인질 중 생존자는 전원 귀환했다. 납치 737일 만이다. 현지언론 등에 따르면 이날 이른 아침 7명이 가자지구 북부에서 먼저 석방됐고 나머지 13명은 몇 시간 뒤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 인근에서 풀려났다. 이스라엘군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에 따른 1단계 휴전 합의에 따라 생존 인질 20명 전원을 인도받았다고 밝혔다.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를 거쳐 이스라엘군에 인계된 이들은 모두 남성으로 이스라엘 남부 레임의 군부대에서 가족과 재회한 뒤 건강검진을 받는다. 남은 사망 인질 28명의 시신도 이스라엘 측에 인도될 예정이지만 정확한 시점은 분명하지 않다. 2년전 하마스가 납치한 인질은 모두 251명이다. 이 가운데 생존해 귀환한 인질은 168명(하마스 기습 이전 납치된 이스라엘인 4명과 외국인 25명 포함)이다. 사망 후 시신으로 돌아온 인질은 57명(이날 반환될 28명 제외)이다. 생존해 귀환한 인질 중 13명은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올해 노벨평화상은 독재에 맞서 위험 속에서도 민주주의의 근본 가치를 옹호해온 베네수엘라의 여성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58)에게 돌아갔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베네수엘라 국민의 민주적 권리를 증진하고 독재 체제를 평화적으로 민주주의로 전환하기 위해 투쟁한 공로로 마차도를 2025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마차도는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의 철권통치에 맞서 자유로운 선거와 대의 민주주의 제도를 부르짖고 있는 정치인이다. 그는 2024년 마두로 대통령의 대항마로 대권에 도전했으나 정적들에 대한 탄압 속에 선거에 나서지 못했다. 마두로 정권의 폭압 때문에 야권 지도자들은 거의 모두 국외로 탈출했으나 마차도는 베네수엘라에 남아 은신하며 민주화 운동을 지속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노벨위원회도 "지난 한 해 동안 마차도는 은신 생활을 해야 했다"며 "생명에 대한 위협이 심각한데도 그는 자국(베네수엘라)에 남아 있었으며 이 선택이 수백만 명에게 영감을 줬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이유로 노벨위원회는 마차도에 대해 "용감하고 헌신적인 평화의 수호자"라며 "짙어지는 암흑 속에 민주주의의 화
								KoreaTV.Radio Steven Choi 기자 |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 자바시장은 한인 경제의 상징이다. 수많은 이민자들이 이곳에서 상권을 일구며, 자바시장은 오랜 세월 동안 ‘아메리칸 드림’을 상징하는 무대가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연방 법원의 판결은 그 화려한 겉모습 뒤에 감춰진 어두운 단면을 드러냈다. 한인 의류 도매업체 C’est Toi Jeans Inc.(CTJ)와 그 경영진이 돈세탁·관세 회피·세금 탈루 혐의로 유죄를 선고받은 사건이다. 불법 관행이 드러난 CTJ 사건 연방 법무부에 따르면 CTJ는 해외에서 의류를 수입하면서 실제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고하는 방식으로 5,100만 달러 이상을 축소 신고했고, 이 과정에서 840만 달러의 관세를 회피했다. 단순한 회계 꼼수를 넘어, CTJ는 마약 거래로 흘러든 현금을 수령해 회사 자금으로 흡수하고, 이를 회계 장부와 세금 신고에서 숨기는 조직적 돈세탁까지 저질렀다. 이 같은 범죄 행위에 대해 법원은 단호한 판결을 내렸다. CTJ 법인은 5년 보호관찰, 1,150만 달러 벌금, 1,500만 달러 이상의 손해배상을 명령받았다. 대표 류시오(Si Oh Rhew)는 징역 103개월(약 8년 7개월)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