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핵무기 운용 부대의 병력과 장비를 우크라이나 국경 쪽으로 이동시키고 있다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전선 곳곳에서 수세에 몰리고 있는 러시아가 실제로 핵 공격을 감행할 수 있다며 이를 행동으로 보여주려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서방 언론들은 러시아군이 저위력의 전술 핵무기를 우크라이나 국경이나 흑해 연안에서 사용하거나 북극해 근방에서 초강력 핵 어뢰 발사 시험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더타임스는 이날 “지난 주말 러시아 중부 지역에서 대형 화물 열차가 신형 병력 수송차와 장비를 싣고 우크라이나 국경을 향해 이동하는 모습이 친러 성향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공개됐다”며 “전문가들은 이 열차가 러시아의 핵공격 준비와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러시아군에 정통한 폴란드 군사 전문가를 인용해 “이 열차는 핵무기 보관과 관리, 운송, 보급을 담당하는 러시아 국방부 12총국과 연계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이 영상 공개는 러시아가 ‘(핵무기를 포함해)가능한 모든 선택지’를 쓸 의지가 충만하다는 것을 서방에 과시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했다. 이와 관련, 영국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
인도네시아의 이스트 자바주에서 1일 라이벌 프로축구팀 경기가 끝난 후 양팀 응원단 간에 충돌이 발생해 축구팬 125명과 경찰 2명 등 모두129명이 사망했다. 사망자들은 대부분 충돌을 벌이는 관중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경찰이 발사한 최루가스를 피하려던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 쓰러지면서 압사했다. 이날 페르세바야 수라바야가 라이벌 아레마 말랑을 3대 2로 누르고 승리한 뒤 양팀 응원단 간에 충돌이 발생했다. 이에 경찰이 최루가스를 쏘며 해산에 나섰고, 패닉 상태에 빠진 사람들이 한꺼번에 출구로 몰리면서 34명이 현장에서 숨졌다고 니코 아핀타 이스트 자바주 경찰국장은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질식해 쓰러지며 서로 깔리는 사고가 뒤따랐다. 3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많은 사람이 이송 도중 또는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고 아핀타 국장은 덧붙였다. 그는 또 180여명의 부상자들 중 많은 사람들의 상태가 악화되고 있어 사망자 수는 더욱 늘어날 것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영국 매체 데일리스타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경기에서 지고 있던 팀을 응원하던 팬들이 경기장으로 난입했고, 경찰이 최루탄을 쏴 이들을 진압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인파가 넘어지고
9월말 시행...수속 적체 따른 구제조치 연방 이민서비스국(USCIS)가 영주권을 가지고 있는 이민자가 현재의 영주권 카드 만료일 이전 제때에 갱신 신청서(I-90)를 접수한 경우 영주권의 유효 기간을 2년까지 자동 연장해주기로 했다. USCIS는 지난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은 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9월26일자로 효력을 발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를 지나며 심각한 이민 신청서류 수속 적체 현상을 겪고 있는 USCIS는 그동안 영주권 갱신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기존 영주권의 유효 기간을 만료일로부터 1년 간 자동 연장해주는 조치를 시행해왓다. 그런데 이번에 그 기간을 2년까지로 2배 늘린 것이다. 이같은 조치는 영주권 카드의 유효 날짜가 만료되기 전 영주권 갱신 신청을 제때 하고도 수속 적체에 따라 새 영주권 카드를 발급받지 못하고 있는 신청자들을 구제하기 위한 것이다. USCIS는 영주권 갱신을 위해 I-90 양식을 접수한 신청자들에게 제공하는 접수통지서에 영주권 카드 유효 기간 2년 자동 연장을 명시해 갱신 신청서를 접수한 영주권자들이 유효 기간이 만료된 이후라도 이러한 접수통지서를 제시하면 합법적인 영주권자임을 증명할 수 있도록
LA 시장 선거를 한 달 정도 앞둔 가운데 여론조사에서 릭 카루소 후보가 캐런 배스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를 상당히 좁힌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루소 후보는 아시안 유권자들의 지지를 많이 받았다. UC버클리 정부학 연구소가 지난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이번 선거에서 투표할 예정이라고 밝힌 1,688명의 등록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시장 후보 지지율이 배스 34%, 카루소 31%로 3%포인트 차이로 집계됐다. 이어 이는 지난 8월 조사때의 12%포인트 차이에서 크게 줄어든 것이며, 오차 범위인 4%보다 적은 차이다. 다만, 등록 유권자 중 이번 선거에서 투표할 것으로 여겨진 유권자들 사이에선 배스가 아직 많이 앞섰다. 설문 대상 1,688명 중 1,349명이 이번 선거에서 투표할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들을 대상으로는 배스 46%, 카루소 31%로, 배스가 15%포인트 앞섰다. KoreaTV.Radio
76년이전 처럼 파산시 학자융자금 빚도 청산 미국의 파산법을 개혁해 1970년대 이전처럼 파산시 학자융자금 빚까지 청산할 수 있도록 허용 하는 법안이 민주당 중진의원들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하바드대 파산법 전문 교수였던 민주당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민주당의 제프 내들러 하원법사위원장이 획기적인 파산법 개혁안을 공동 상정하고 상하원에서 동시 추구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학자융자금 1만달러내지 2만달러 탕감조치를 발표한데 맞춰 획기적인 파산 법 개혁법안이 민주당 중진의원들에 의해 상하원에서 동시 추진되고 있다 민주당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제프 내들러 하원법사위원장은 소비자 파산 개혁법을 상하 원에 동시 상정하고 미국의 파산제도 개혁에 나섰다 하바드 대학 파산법 교수였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제프 내들러 하원 법사위원장의 파산 개혁법안에서는 1976년이후 금지된 파산시 학자융자금 빚도 다시 청산할 수 있도록 허용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이들 의원들은 “바이든 대통령의 학자융자금 탕감조치로 4000만명의 미국인들이 학자융자금 빚 부담을 많이 덜게 됐으나 그렇지 못하는 이들도 남을 것이므로 파산법을 개혁해 학자금 빚을 청산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한류바람이 중동에 거세게 불고 있다. 3일 CJ ENM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케이컬처 페스티벌 ‘케이콘(KCON)’에 2만명이 운집했다. 케이콘은 한류 콘서트에 한국의 라이프스타일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컨벤션을 융합한 페스티벌이다. 지난 2012년부터 11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모았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케이콘이 열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2016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진행한 ‘케이콘 2016 아부다비’에 이어 두 번째다. 이번 케이콘은 지난 6월 CJ ENM과 사우디아라비아 문화부가 체결한 문화 교류 증진 업무협약(MOU)에 따른 첫 번째 결과물이기도 하다. 이틀 간 진행한 이번 행사에는 사우디아라비아뿐 아니라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쿠웨이트 등 주변 지역의 K팝 팬들도 몰렸다. 공연이 생중계된 티빙(TVING), 유튜브 채널 케이콘 오피셜, 엠넷 K팝 등의 채널에도 전 세계 213개 국가 820만 명의 팬들이 몰렸다. 이번 케이콘은 원조 월드스타부터 4세대 아이돌까지 뭉쳐 주목 받았다. 첫째 날엔 ‘펜타곤(PENTAGON)’, ‘시크릿넘버(SECRET NUMBER)’, ‘피원
영국 중앙은행이 대규모 국채 매입에 나설 만큼 급락한 파운드화의 가치는 영국 국력 쇠퇴를 상징하는 한 단면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무늬가 들어 있는 영국 파운드화는 한 때 달러보다 가치가 높다는 믿음이 있었지만 그 이미지가 훼손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최근 ‘1파운드=1달러’의 등가에 가까운 1.03달러까지 파운드화 가치가 떨어진 것은 여왕의 서거처럼 영국 역사의 한 장을 마감하는 것처럼 비쳐지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영국 옥스포드 대학의 세계화 및 개발 교수인 이언 골딘은 “많은 사람들에게 여왕의 죽음은 영국 소프트 파워의 종식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파운드화 가치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은 다차원적으로 봤을 때 이런 징표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파운드화 가치가 급락한 배경에는 부유층에 대한 세금 감면과 더불어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소비자와 기업들을 돕기 위해 재정 지출을 확대한 영향이 있다. 영국 중앙은행(BOE)이 금융시장의 중대한 위험을 경고하며 시장에 개입하면서 위기감은 고조됐다. BOE는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하루 50억 파운드씩 13일간 650억 파운드 규모의 장
오는 11월 3일 결선 투표를 앞두고 박빙의 선두다툼이 벌어지고 있는 LA 시장 선거전에서 LA 한인 상의 등 아태계 비즈니스 단체와 재계 리더들이 사업가 출신의 릭 카루소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나섰다. LA 한인 상의를 비롯한 아태계 비즈니스 단체들은 3일 기자회견을 갖고 이번 LA 시장선거에서 릭 카루소 후보를 지지한다고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인 상의를 포함한 아태계 상공 회의소와 재계 비즈니스 지도자들은 릭 카루소 후보를 LA 시장으로 강력히 지지한다는 입장 발표를 하게 된다. 앞서 1일 공개된 보도자료에서 아태계 상공회의소 및 재계 지도자들은 릭 카루소 후보를 LA 시장으로 만들기 위해 하나로 뭉치자고 지지를 호소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한인, 중국인, 태국인 상공회의소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차이나 타운에서 열릴 예정인 이날 기자회견에서 카루소 후보는 LA 지역내 소기업 지원을 위한 자신의 ‘소기업 권리 법안'(Small Business Bill of Rights)을 발표할 예정이다. KoreaTV.Radio
LA에서 가장 안전한 부촌 중 하나로 꼽히는 롤링힐스 지역에서 2인조 강도가 들어 귀금속이 든 500파운드 금고를 통째로 훔쳐 도주했다. 이들 2인조 강도의 절도 장면은 피해를 당한 저택의 감시 카메라에 포착됐다. 폭스 뉴스에 따르면 지난 주말 Rolling Hills Estates의 한 집에서 2인조 강도들이 침입해 금화수집품과 귀금속 등이 든 500파운드 금고를 훔쳐 달아났다. 당시 이 집은 주인이 부재 중이었다. 감시 카메라 영상에서 강도들은 현대 싼타페 SUV를 타고 이 집에 침입했으며 범행에는 3명이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 직접 금고를 훔친 2명은 마스크와 장갑을 끼고 있었다. 집주인의 딸은 이 사건으로 가족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고 털어놓았다. 이 집 주인은 “40년간 이 집에서 살았지만 이런 일이 발생하리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며 “이 사건을 당하고 나니 매우 불안한 마음이 든다”고 말했다. 최근 롤링힐스 지역에서는 집 주인이 부재 중인 집을 골라 뒷문이나 창문을 통해 침입해 절도행가를 벌이는 사건이 여러 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KoreaTV.Radio
프란치스코 교황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직접 언급하며 “폭력과 죽음의 악순환을 멈추라”고 했다. 교황이 푸틴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전쟁 중단을 촉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2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교황은 이날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연설에서 “나의 호소는 무엇보다 러시아 연방 대통령을 향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교황은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합병하고 나선 것에 대해 “이는 핵 위기를 고조시켜 전 세계적으로 통제 불가능하고 재앙적인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일으키고 있다”며 “국제법 원칙에 반하는 행보로 야기된 엄중한 상황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이어 “인류가 다시 한번 핵전쟁에 직면한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며 “또 무엇이 일어나야 하고, 얼마나 더 많은 피를 흘려야 하는가”라고 했다. 교황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언급하며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진지한 평화 제안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갖도록 호소한다”고 했다. 이어 “국제사회 주역들과 정치 지도자들이 위험한 사태를 피하고 전쟁을 끝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교황은 전쟁을 “공포와 광기”로 표현하고, “이 거대
지난 1일 LA다운타운 자바시장에서 한인 업주 이모 씨가 강도에게 흉기에 수차례 찔려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체포된 살해 용의자는 10대 히스패닉 남성과 여성으로 확인된 가운데 한인 업주들과 일대 주민들은 대책 없이 약화된 치안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LAPD에 따르면 사건은 지난 1일 오후 1시 16분쯤 월 스트릿과 올림픽 불러바드에서 발생했다. 경찰은 용의자 2명과 피해자 사이에서 다툼이 발생했고, 이후 남성 용의자가 피해자를 흉기로 수차례 찔러 현장에서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LA카운티 검시국은 피해자가 올해 56살 이 모(Du Lee)씨 라고 확인했다. 남성과 여성 용의자는 모두 올해 17살 히스패닉으로 확인됐으며, 현재 구금된 상태다. LAPD 로사리오 서반테스 공보관은 “목격자들에 따르면 숨진 이 씨 가게에 무장 강도들이 침입해 물건들을 훔쳐 달아났고 이 씨는 즉각 용의자들을 잡기 위해 따라나섰다”며 “이후 바로 건너편 건물에서 용의자들과 이 씨 사이에서 다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당시 상황을 목격한 A씨는 숨진 이 씨가 용의 남성의 총기부터 빼앗았지만 용의 남성은 이 씨의 머리를 가격한 뒤 소지하고 있던 흉기로 수차례 찔렀다고
캘리포니아주에서 휘발유 가격이 연일 치솟으면서 연중 최고치에 육박했다. 1일 전미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이날 캘리포니아주의 평균 휘발유 가격은 갤런(3.78L)당 6.358달러(9천155원)를 나타냈다. 1L(리터)당 2천474원(환율 1천440원)에 해당한다. 이는 전날보다는 0.065달러 오른 것으로, 일주일 전보다는 0.676달러, 한 달 전보다는 1.106달러 상승한 수준이다. 특히 1년 전보다는 2달러 가까이 상승하며, 연중 최고치인 지난 6월 14일 6.438달러에 바짝 다가섰다. 50개주 전체 평균 갤런당 3.800달러보다는 무려 2.558달러(67.3%) 높다. 가장 낮은 유가를 보이는 텍사스주(3.104달러)의 두 배가 넘고, 뉴욕주(3.610달러)의 1.5배에 달한다. 미국 50개 주에서 평균 유가가 6달러를 넘는 주는 캘리포니아주가 유일하다. 대부분의 휘발유 가격이 3달러대를 기록 중이지만 네바다(5.477달러)와 오리건(5.410달러), 워싱턴(5.280달러) 등 서부 지역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내 일부 지역에서는 8달러에 육박하는 주유소도 생겨났다. 이처럼 캘리포니아주의 유가가 치솟는 것은 미국 남동부 지역을 강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