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애플페이가 한국에서도 허용된다. 한국 금융위원회가 그간 단말기 도입이나 수수료 문제 등으로 도입을 검토해왔던 '애플페이'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3일 금융위는 여러 법령 등을 고려한 결과 신용카드사들이 필요한 절차를 준수한다면 애플페이를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가 내세운 전제 조건은 애플페이와 관련된 수수료를 고객이나 가맹점에 전가되지 않아야 하며, 고객의 귀책 없는 개인정보 도난, 유출 등으로 야기된 손해에 대해 책임져야한다는 내용이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보안성과 안정성을 따지지 않고 무조건 애플페이를 수용할 경우, 해외에서 발생하는 금융 보안 사고에 대해 당국이 개입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서 입장을 유보해왔다. 애플페이는 해외에 서버를 둔 EMV 망을 원칙으로 삼고 있는데, 현재 ‘금융회사의 정보처리 업무 위탁에 관한 규정’은 카드 결제자(금융소비자)의 고유식별정보 해외 위탁을 금지하고 있다. 이 부분을 금융위가 검토해 완화키로 한 것. 또 한국내에서는 애플페이가 활용 가능한 단말기가 주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이 비용을 가맹점이나 고객에게 전가할 수 있다는 우려를 금융당국은 해왔다. 이와 관
KoreaTV.Radio 이준 기자 | 금융 서비스 진출을 확대하는 애플 등 빅테크에 맞서 미국 월가의 대형은행들이 손을 잡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체이스 등 7개 은행이 온라인 쇼핑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지갑을 출시하기 위해 협력 중이라고 보도했다. 대형은행들이 공동 개발 중인 디지털지갑은 각사에서 발행한 체크카드, 신용카드와 연계된다. 출시 직후 1억5천만 장의 체크·신용카드를 이 디지털지갑 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은행들은 전망했다. 온라인 송금서비스 '젤'의 운영사인 얼리워닝서비스가 이 디지털지갑을 운영하며, 올해 하반기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우선 비자와 마스터카드에서 발행한 체크·신용카드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지만, 얼리워닝서비스 측은 다른 카드사와도 접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월가의 대형은행들이 공동으로 디지털지갑 출시에 나선 것은 애플페이, 페이팔과 같은 제3자 월렛 서비스와의 경쟁 때문이라고 한 소식통이 WSJ에 전했다. 특히 애플의 경우 자체 브랜드 신용카드를 출시하고 '선구매 후지불'(buy now, pay later)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물론 골드만삭스와 함께 저축계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