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왜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어떤 상황도 견딜 수 있다”
# 가수 전인권(69)은 어렸을 적 서울 삼청공원 뒷산에서 열매와 과실 등을 자주 따먹었다고 한다. 1950~60년대 한국은 정말 지독하게 가난했다. 감자·고구마로도 한끼를 때우지 못해 메뚜기·개구리도 잡아먹던 시절이었다. 그래도 그땐 시집·장가 다 가고 아이를 5~10명씩 낳았다. 세계 최빈국에 속했지만 자살은커녕, 악착같이 살았다. 지금 우리나라는 세계 10위안에 드는 부자나라다. 전세계인들이 한국 문화와 음식을 즐기려고 몰려들고 있다. 그러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자살률은 최고 수준이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중 2003년부터 단 한차례 제외하고 줄곧 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도대체 왜 그렇게 됐을까. 처음 자살률 1위를 기록한 2003년은 1997년 ‘IMF’ 상황여파로 이해할만했다. 그런데 이후 20년간 1위를 고수한 점을 보면 특정 대통령이나 정치세력의 탓으로 볼 수 없다. 혹자는 군부독재정권이나 수구보수세력이 만든 나쁜 사회구조, 청산되지 않은 과거사 후유증이라고도 주장하지만 1987년 민주화가 된지 이미 37년이 흘러갔다. 정권교체도 계속 이뤄졌고 수많은 개혁조치가 이뤄졌다. 자본가를 비롯 가진 자들 탓, 빈부격차가 가장 큰 요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