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영어를 미국의 유일한 공용어(Official Language)로 지정하면서 미주 한인 200만명의 권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어 공용어 정책은 연방 차원에서 미국 역사상 처음 있는 일로, 한국어를 비롯한 소수계 언어 지원이 대폭 축소되거나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서명한 행정명령에서 “영어를 미국의 공식 언어로 지정한다”고 선포했다. 미국 내 30여 개 주는 이미 입법을 통해 영어를 공용어로 채택했지만, 연방 차원에서 공용어 지정이 이루어진 것은 250년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 과거에도 영어 공용어 지정이 시도된 바 있으나, 반이민 정책으로 간주되어 번번이 무산되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이민 정책 중 하나로 평가되며, 영어를 기본 언어로 사용하는 미국에서 당연한 결정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 이민자 사회에는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연방정부가 지원해 온 비영어권 이민자를 위한 통·번역 서비스와 정부 문서의 다국어 표기 지원이 대폭 축소되거나 완전히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내 6800만 명, 영어 외 언어 사용… 한국어 사용자 110만 명
연방 센서스 통계에 따르면 미국 내 가정의 78%가 영어만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체 거주민의 21.6%인 약 6800만 명이 영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국어는 스페인어(4350만 명)이며, 이어 중국어(350만 명), 타갈로그어(176만 명), 베트남어(157만 명), 한국어(110만 명) 순이다.
현재 연방정부는 다양한 정책 및 선거 관련 문서를 다국어로 제공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에서도 비영어권 주민을 위한 통·번역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행정명령으로 인해 이러한 연방 차원의 지원 예산이 대폭 삭감되고 결국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백악관 행정명령 초안에 “정부 문서와 서비스에서 영어 외 언어 사용을 유지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영어가 공식 공용어로 지정되면서 연방정부의 외국어 지원 예산이 단계적으로 삭감될 것이 확실시된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을 기반으로 한인 이민사회 및 이민옹호 단체 지원을 대폭 줄이고 있어, 영어 공용어 지정과 맞물려 연방 차원의 언어 지원 정책이 큰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방정부 지원이 끊기면, 이민자 밀집 지역에서 자체 예산을 투입해 외국어 통·번역 서비스를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축소할 것인지를 두고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다만, 일부 우려와 달리 사업체 간판에서 영어만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조치까지는 시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정명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2기 반이민 정책의 연장선으로 평가되며, 향후 이민자 사회와 연방정부 간의 긴장 관계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