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대신 투표했다” 부정선거 사실이었나…“미국 우편투표에 심각한 문제”

  • 등록 2024.01.29 06:15:17
크게보기

라스무센·하트랜드 조사결과 ‘충격’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우편투표 했다는 응답자 중 21%
“가족·친구 대신해 투표용지 작성”
17%는 “살지않는 동네서 투표”
전문가 “이런 투표는 모두 불법
.여론조사 결과 매우 놀랍다“

 

KoreaTV.Radio 박기준 기자 |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부정선거’ 이슈가 확산되고 있어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2020년 대선 결과를 아직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광범위한 선거부정이 있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선거결과를 뒤집기 위해 의회 난입 등을 부추겼다는 혐의로 재판까지 받고 있다.

최근 미국의 대표적 정책 싱크탱트인 하트랜드 연구소(Heartland Institute)의 정책 고문인 다니엘 셔터 트로이 대학교 경제학 교수는 ‘우편투표의 위험성’이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실었다.

셔터 교수는 이 글에서 “하트랜드 연구소와 라스무센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2020년 선거때 광범위한 부정이 발견됐다. 이것이 대통령 선거 도둑질을 증명하는지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우편 투표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은 분명하다”고 썼다.

 

 

그는 “우편 투표는 2016년과 비교해 2020년에 2000만명 이상 국민이 투표를 하도록 이끌었다. 그러나 낯선 것은 종종 두려운 것이기 때문에 우편 투표의 보안 문제에 대한 걱정은 특별한 근거가 없더라도 진심”이라며 “그러나 이같은 염려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그런 우려를 표명하는 사람을 선거 부정론자, 음모론자로 매도했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유명 여론조사 기관인 라스무센리포트와 하트랜드 연구소는 지난해 12월 108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오차 범위는 95% 신뢰 수준에서 ±3%다.
설문 응답자 가운데 30%가 실제 지난 대선때 우편 투표를 했다고 답했다.

소수 인종일 수록 우편 투표 비중이 높았다고 한다. 백인의 25%, 흑인 35%, 히스패닉 49%, 기타 소수 인종의 41%가 부재자 또는 우편 방식으로 투표했다고 답한 것이다.

그런데 우편 투표를 한 사람들중 21%가 ‘배우자·자녀 등 가족과 친구를 대신해 투표용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우편 투표자중 ‘2020년 선거 당시, 영주권을 갖고 있지 않은 주에서 투표를 했다’고 답한 사람도 17%나 됐다.

하트랜드 연구소 관계자는 “이같은 투표 행동은 모두 불법”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는 매우 놀랍다”고 말했다.
 

 

코네티컷과 캘리포니아 등 각 지역 단위 선거에서 잇달아 ‘부정투표’ 유죄판결이 나고 있는 것도 우편 방식에 대한 불신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0년 대선 이후 미국의 여러 주에선 드라이브스루 투표 금지, 우편투표 신원 확인 확인을 강화하는 법이 도입됐다.

박기준
Copyright @KoreaRadio Corp.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KoreaTV.Radio Corp. All rights reserved.